학과(부)소개

편성교과목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1/1학기 전필 4362001
수의해부학및실험1 (Veterinary Anatomy and Laboratory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01
  • 교과목명 : 수의해부학및실험1 (Veterinary Anatomy and Labora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4-3-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①개의 해부학적 구조지식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②개의 기본적인 계통별 구조 및 계통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에 대한 학습하고, 실습을 통해 지식을 강화한다.③ 학습한 개의 기본해부학적 계통별 구조 및 상호연계에 대한 지식을 임상, 연구 현장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 English

      Through discussions and career counseling on the prospects of veterinary medicine and prospects for future research, we continue to draw attention to veterinary medicine.

    닫기
4 3 2 상세보기
  • 국문

    ①개의 해부학적 구조지식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②개의 기본적인 계통별 구조 및 계통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에 대한 학습하고, 실습을 통해 지식을 강화한다.③ 학습한 개의 기본해부학적 계통별 구조 및 상호연계에 대한 지식을 임상, 연구 현장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 English

    Through discussions and career counseling on the prospects of veterinary medicine and prospects for future research, we continue to draw attention to veterinary medicine.

닫기
1/1학기 전필 4362003
수의생리학및실험1 (Veterinary Physiology and Laboratory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03
  • 교과목명 : 수의생리학및실험1 (Veterinary Physiology and Labora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4-3-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 지식으로 동물 기관의 생리현상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수업내용: 세포 및 체액, 순환, 호흡, 소화 및 대사, 신장 및 산-염기 평형, 근육, 신경, 내분비 및 생식에 대해 학습한다. 수업성과: 학생은 동물의 정상 생리현상을 충분히 숙지하여, 병태생리현상과 구분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lass studies the physiological homeostasis of cells, tissues, and organs for animal health care. Students learn about cell and body fluids, circulation, breathing, digestion and metabolism, kidney and acid-base equilibrium, muscle, nerve, as well as endocrine and reproduction. Students are fully aware of the normal physiology of animals and can distinguish them from pathophysiology.

    닫기
4 3 2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 지식으로 동물 기관의 생리현상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수업내용: 세포 및 체액, 순환, 호흡, 소화 및 대사, 신장 및 산-염기 평형, 근육, 신경, 내분비 및 생식에 대해 학습한다. 수업성과: 학생은 동물의 정상 생리현상을 충분히 숙지하여, 병태생리현상과 구분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lass studies the physiological homeostasis of cells, tissues, and organs for animal health care. Students learn about cell and body fluids, circulation, breathing, digestion and metabolism, kidney and acid-base equilibrium, muscle, nerve, as well as endocrine and reproduction. Students are fully aware of the normal physiology of animals and can distinguish them from pathophysiology.

닫기
1/1학기 전필 4362004
수의발생학및실험1 (Veterinary Embryology and Laboratory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04
  • 교과목명 : 수의발생학및실험1 (Veterinary Embryology and Labora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①동물의 단일수정란으로 부터 기관과 조직이 형성되는 과정, 기능적 행동의 변화, 기관 및 조직의 위치관계, 모체와 태아의 기능적 상호관계 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②동물 생식세포의 발생과 수정과정, 수정란의 발달과 배엽분화, 창자배형성과 초기분화, 태아막과 태반형성 등 발생학 총론을 위주로 학습한다. ③동물의 초기발생과정과 착상 및 태반형성과정을 통하여 기관 계통별 원기 및 발생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English

      ①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how organs and tissues are formed, changes in functional behavior, positional relationships between organs and tissues, and maternal and fetal functional interactions. ② This course focuses on the common embryology, such as germ cell development and fertilization, embryonic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gastrulation and early embryonic differentiation, fetal membrane and placentation. ③ You can get the information on the origin and differentiation of organ system through the early embryonic development and the process of implantation and placentation.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①동물의 단일수정란으로 부터 기관과 조직이 형성되는 과정, 기능적 행동의 변화, 기관 및 조직의 위치관계, 모체와 태아의 기능적 상호관계 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②동물 생식세포의 발생과 수정과정, 수정란의 발달과 배엽분화, 창자배형성과 초기분화, 태아막과 태반형성 등 발생학 총론을 위주로 학습한다. ③동물의 초기발생과정과 착상 및 태반형성과정을 통하여 기관 계통별 원기 및 발생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English

    ①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how organs and tissues are formed, changes in functional behavior, positional relationships between organs and tissues, and maternal and fetal functional interactions. ② This course focuses on the common embryology, such as germ cell development and fertilization, embryonic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gastrulation and early embryonic differentiation, fetal membrane and placentation. ③ You can get the information on the origin and differentiation of organ system through the early embryonic development and the process of implantation and placentation.

닫기
1/1학기 전필 4362005
수의조직학및실험1 (Veterinary Histology and Laboratory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05
  • 교과목명 : 수의조직학및실험1 (Veterinary Histology and Labora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의 정상 장기 또는 조직 및 세포의 현미경적 구조를 배우고 익히는데 목적을 둔다. 각 장기 또는 조직을 이루는 구성세포와 구성세포들이 연합하여 이루어내는 조직학적 구조의 원리를 이론으로 배우고, 현미경 실습을 통하여 이론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각 장기의 정상적인 조직학적 구조를 확인한다. 이를 통하여 각 장기의 세포 조직학적 형태와 기능을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고, 병적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조직 및 세포의 변화를 구별 진단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진다.

    • English

      Veterinary Histology and Experiment1 is to learn the normal morphological structures of tissues or organs in animals. It include learning how differenct cell popoulations can organize the whole tissues of organs, followed by confirmation of the histological features using a light microscop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orphology-based functions of organs and can differentiate abnormal changes induced by various pathological events in organ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의 정상 장기 또는 조직 및 세포의 현미경적 구조를 배우고 익히는데 목적을 둔다. 각 장기 또는 조직을 이루는 구성세포와 구성세포들이 연합하여 이루어내는 조직학적 구조의 원리를 이론으로 배우고, 현미경 실습을 통하여 이론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각 장기의 정상적인 조직학적 구조를 확인한다. 이를 통하여 각 장기의 세포 조직학적 형태와 기능을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고, 병적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조직 및 세포의 변화를 구별 진단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진다.

  • English

    Veterinary Histology and Experiment1 is to learn the normal morphological structures of tissues or organs in animals. It include learning how differenct cell popoulations can organize the whole tissues of organs, followed by confirmation of the histological features using a light microscop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orphology-based functions of organs and can differentiate abnormal changes induced by various pathological events in organs.

닫기
1/1학기 전필 4362006
수의미생물학및실험1 (Veterinary Microbiology and Laboratory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06
  • 교과목명 : 수의미생물학및실험1 (Veterinary Microbiology and Labora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동물에서 감염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세균)의 특성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균의 구조와 기능, 영양, 증식, 제어, 대사, 유전, 병원성 기전을 익히고 항미생물 화학요법 등을 학습한다. 학생은 세균성 감염병을 제어하고 적절한 진단, 예방, 및 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is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s (bacteria) that cause infectious diseases in animals. Students lear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bacteria, nutrition, growth, control, metabolism, genetics, pathogenic mechanisms, and antimicrobial chemotherapy. Students can control bacterial infections and conduct effective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동물에서 감염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세균)의 특성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균의 구조와 기능, 영양, 증식, 제어, 대사, 유전, 병원성 기전을 익히고 항미생물 화학요법 등을 학습한다. 학생은 세균성 감염병을 제어하고 적절한 진단, 예방, 및 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is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s (bacteria) that cause infectious diseases in animals. Students lear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bacteria, nutrition, growth, control, metabolism, genetics, pathogenic mechanisms, and antimicrobial chemotherapy. Students can control bacterial infections and conduct effective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닫기
1/1학기 전필 4362058
수의생화학및실험1 (Veterinary Bio Chemistry and Laboratory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58
  • 교과목명 : 수의생화학및실험1 (Veterinary Bio Chemistry and Labora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섭취와 대사를 통해 에너지를 만들어내고, 그 에너지를 적절하게 사용해야한다. 이 에너지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면 질병에 걸리게 된다. 본 과목에서는 에너지를 만들기까지 필요한 대사과정 및 질병으로 인한 비정상적 대사를 심도 있게 이해하여 수의사로서 필요한 지식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English

      Animals must generate energy through ingestion and metabolism to sustain life, and use that energy appropriately. Problems with this energy use can lead to illness. This course aims to learn the knowledge necessary as a veterinarian by in-depth understanding of metabolic processes and abnormal metabolism due to disease to make energy.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섭취와 대사를 통해 에너지를 만들어내고, 그 에너지를 적절하게 사용해야한다. 이 에너지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면 질병에 걸리게 된다. 본 과목에서는 에너지를 만들기까지 필요한 대사과정 및 질병으로 인한 비정상적 대사를 심도 있게 이해하여 수의사로서 필요한 지식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English

    Animals must generate energy through ingestion and metabolism to sustain life, and use that energy appropriately. Problems with this energy use can lead to illness. This course aims to learn the knowledge necessary as a veterinarian by in-depth understanding of metabolic processes and abnormal metabolism due to disease to make energy.

닫기
1/1학기 전필 4362120
실험동물의학및실험1 (Laboratory Animal Medical Science and Laboratory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20
  • 교과목명 : 실험동물의학및실험1 (Laboratory Animal Medical Science and Labora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 및 의생명과학에서 필요로하는 실험동물의 과학적인 이용과 특성에 대하여 이해한다. 수업 내용은 실험동물의 복지, 과학에서의 실험동물의 사용과 관리 및 실험동물의 특성을 이해하고 응용한다. 실험동물을 직접 과학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동물복지의 개념을 이해하고, 실험동물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실험동물에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을 가지게 된다.

    • English

      Understand the scientific uses and characteristics of laboratory animals needed in veterinary medicine. The content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and apply the welfare of laboratory animals, the use and management of laboratory animals in sc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boratory animals. Understand the concept of animal welfare for the scientific use of experimental animals directly, have knowledge about experimental animals and have the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experimental animal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 및 의생명과학에서 필요로하는 실험동물의 과학적인 이용과 특성에 대하여 이해한다. 수업 내용은 실험동물의 복지, 과학에서의 실험동물의 사용과 관리 및 실험동물의 특성을 이해하고 응용한다. 실험동물을 직접 과학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동물복지의 개념을 이해하고, 실험동물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실험동물에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을 가지게 된다.

  • English

    Understand the scientific uses and characteristics of laboratory animals needed in veterinary medicine. The content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and apply the welfare of laboratory animals, the use and management of laboratory animals in sc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boratory animals. Understand the concept of animal welfare for the scientific use of experimental animals directly, have knowledge about experimental animals and have the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experimental animals.

닫기
1/2학기 전필 4362007
수의해부학및실험2 (Veterinary Anatomy and Laboratory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07
  • 교과목명 : 수의해부학및실험2 (Veterinary Anatomy and Labora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4-3-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①가축의 해부학적 기본지식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② 가축인 개, 소, 말, 돼지, 조류의 기본 계통별 비교해부학적 구조를 학습하고, 이들 계통간 연결관계 및 비교적인 차이를 학습하고, 실습을 통해 지식을 강화한다. ③ 학습한 가축별 비교해부학적 지식을 임상, 연구 현장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 English

      ①The goal of Veterinary Anatomy 2 is learning anatomical structure of domestic animal body and its part. ② Study for comparative anatomical structures( canine, bovine, equine, porcine and avian) and its relationship and enhance basic knowledge via practical exercise. ③ Students could apply the knowledge had learned in class to clinic and research.

    닫기
4 3 2 상세보기
  • 국문

    ①가축의 해부학적 기본지식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② 가축인 개, 소, 말, 돼지, 조류의 기본 계통별 비교해부학적 구조를 학습하고, 이들 계통간 연결관계 및 비교적인 차이를 학습하고, 실습을 통해 지식을 강화한다. ③ 학습한 가축별 비교해부학적 지식을 임상, 연구 현장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 English

    ①The goal of Veterinary Anatomy 2 is learning anatomical structure of domestic animal body and its part. ② Study for comparative anatomical structures( canine, bovine, equine, porcine and avian) and its relationship and enhance basic knowledge via practical exercise. ③ Students could apply the knowledge had learned in class to clinic and research.

닫기
1/2학기 전필 4362008
수의발생학및실험2 (Veterinary Embryology and Laboratory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08
  • 교과목명 : 수의발생학및실험2 (Veterinary Embryology and Labora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①동물의 단일수정란으로 부터 기관과 조직이 형성되는 과정, 기능적 행동의 변화, 기관 및 조직의 위치관계, 모체와 태아의 기능적 상호관계 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②동물의 몸을 구성하는 개별 조직과 기관계통의 발달, 구조와 최종형태 및 유기적 관련성, 발생학적 결함과 기형에 대해 학습한다. ③동물 개체의 각 기관계통별 발생과정과 기형발생을 설명하고 동물의 병리적 상태의 발생원인을 추측할 수 있다.

    • English

      ①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how organs and tissues are formed, changes in functional behavior, positional relationships between organs and tissues, and maternal and fetal functional interactions. ② This course focusses o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tissues and organ systems that make up the body of animals, their structure and final form, their organic relevance, developmental defects and malformations. ③ You can explain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malformation of each organ system of animal and can infer the cause of pathological condition of animal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①동물의 단일수정란으로 부터 기관과 조직이 형성되는 과정, 기능적 행동의 변화, 기관 및 조직의 위치관계, 모체와 태아의 기능적 상호관계 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②동물의 몸을 구성하는 개별 조직과 기관계통의 발달, 구조와 최종형태 및 유기적 관련성, 발생학적 결함과 기형에 대해 학습한다. ③동물 개체의 각 기관계통별 발생과정과 기형발생을 설명하고 동물의 병리적 상태의 발생원인을 추측할 수 있다.

  • English

    ①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how organs and tissues are formed, changes in functional behavior, positional relationships between organs and tissues, and maternal and fetal functional interactions. ② This course focusses o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tissues and organ systems that make up the body of animals, their structure and final form, their organic relevance, developmental defects and malformations. ③ You can explain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malformation of each organ system of animal and can infer the cause of pathological condition of animals.

닫기
1/2학기 전필 4362009
수의생리학및실험2 (Veterinary Physiology and Laboratory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09
  • 교과목명 : 수의생리학및실험2 (Veterinary Physiology and Labora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 지식으로 동물 기관의 생리현상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수업내용: 세포 및 체액, 순환, 호흡, 소화 및 대사, 신장 및 산-염기 평형, 근육, 신경, 내분비 및 생식에 대해 학습한다. 수업성과: 학생은 동물의 정상 생리현상을 충분히 숙지하여, 병태생리현상과 구분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lass studies the physiological homeostasis of cells, tissues, and organs for animal health care. Students learn about cell and body fluids, circulation, breathing, digestion and metabolism, kidney and acid-base equilibrium, muscle, nerve, as well as endocrine and reproduction. Students are fully aware of the normal physiology of animals and can distinguish them from pathophysiology.

    닫기
3 1 4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 지식으로 동물 기관의 생리현상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수업내용: 세포 및 체액, 순환, 호흡, 소화 및 대사, 신장 및 산-염기 평형, 근육, 신경, 내분비 및 생식에 대해 학습한다. 수업성과: 학생은 동물의 정상 생리현상을 충분히 숙지하여, 병태생리현상과 구분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lass studies the physiological homeostasis of cells, tissues, and organs for animal health care. Students learn about cell and body fluids, circulation, breathing, digestion and metabolism, kidney and acid-base equilibrium, muscle, nerve, as well as endocrine and reproduction. Students are fully aware of the normal physiology of animals and can distinguish them from pathophysiology.

닫기
1/2학기 전필 4362010
수의조직학및실험2 (Veterinary Histology and Laboratory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10
  • 교과목명 : 수의조직학및실험2 (Veterinary Histology and Labora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의 정상 장기 또는 조직 및 세포의 현미경적 구조를 배우고 익히는데 목적을 둔다. 각 장기 또는 조직을 이루는 구성세포와 구성세포들이 연합하여 이루어내는 조직학적 구조의 원리를 이론으로 배우고, 현미경 실습을 통하여 이론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각 장기의 정상적인 조직학적 구조를 확인한다. 이를 통하여 각 장기의 세포 조직학적 형태와 기능을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고, 병적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조직 및 세포의 변화를 구별 진단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진다.

    • English

      Veterinary Histology and Experiment2 is to learn the normal morphological structures of tissues or organs in animals. It include learning how differenct cell popoulations can organize the whole tissues of organs, followed by confirmation of the histological features using a light microscop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orphology-based functions of organs and can differentiate abnormal changes induced by various pathological events in organ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의 정상 장기 또는 조직 및 세포의 현미경적 구조를 배우고 익히는데 목적을 둔다. 각 장기 또는 조직을 이루는 구성세포와 구성세포들이 연합하여 이루어내는 조직학적 구조의 원리를 이론으로 배우고, 현미경 실습을 통하여 이론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각 장기의 정상적인 조직학적 구조를 확인한다. 이를 통하여 각 장기의 세포 조직학적 형태와 기능을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고, 병적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조직 및 세포의 변화를 구별 진단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진다.

  • English

    Veterinary Histology and Experiment2 is to learn the normal morphological structures of tissues or organs in animals. It include learning how differenct cell popoulations can organize the whole tissues of organs, followed by confirmation of the histological features using a light microscop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orphology-based functions of organs and can differentiate abnormal changes induced by various pathological events in organs.

닫기
1/2학기 전필 4362011
수의미생물학및실험2 (Veterinary Microbiology and Laboratory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11
  • 교과목명 : 수의미생물학및실험2 (Veterinary Microbiology and Labora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동물에서 감염병을 일으키는 미생물(바이러스)의 특성과 숙주의 방어기전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이러스의 구조, 증식, 유전, 그리고 병원성 기전을 익히고, 숙주의 방어기전인 선천 및 후천성 면역의 특성과 기전 등을 학습한다. 학생은 바이러스성 감염병을 제어하고 적절한 진단, 예방, 백신개발 및 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is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viruses that cause infectious diseases in animals and the defense mechanisms of the host. Students will study the structure, replication, genetics, and pathogenic mechanisms of virus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s of innate and acquired immunity, which are host defense mechanisms. Students can control viral infections and effectively perform appropriate diagnosis, prevention, vaccine development and treatment.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동물에서 감염병을 일으키는 미생물(바이러스)의 특성과 숙주의 방어기전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이러스의 구조, 증식, 유전, 그리고 병원성 기전을 익히고, 숙주의 방어기전인 선천 및 후천성 면역의 특성과 기전 등을 학습한다. 학생은 바이러스성 감염병을 제어하고 적절한 진단, 예방, 백신개발 및 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is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viruses that cause infectious diseases in animals and the defense mechanisms of the host. Students will study the structure, replication, genetics, and pathogenic mechanisms of virus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s of innate and acquired immunity, which are host defense mechanisms. Students can control viral infections and effectively perform appropriate diagnosis, prevention, vaccine development and treatment.

닫기
1/2학기 전필 4362059
수의생화학및실험2 (Veterinary Bio Chemistry and Laboratory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59
  • 교과목명 : 수의생화학및실험2 (Veterinary Bio Chemistry and Labora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섭취와 대사를 통해 에너지를 만들어내고, 그 에너지를 적절하게 사용해야한다. 이 에너지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면 질병에 걸리게 된다. 본 과목에서는 에너지를 만들기까지 필요한 대사과정 및 질병으로 인한 비정상적 대사를 심도 있게 이해하여 수의사로서 필요한 지식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English

      Animals must generate energy through ingestion and metabolism to sustain life, and use that energy appropriately. Problems with this energy use can lead to illness. This course aims to learn the knowledge necessary as a veterinarian by in-depth understanding of metabolic processes and abnormal metabolism due to disease to make energy.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섭취와 대사를 통해 에너지를 만들어내고, 그 에너지를 적절하게 사용해야한다. 이 에너지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면 질병에 걸리게 된다. 본 과목에서는 에너지를 만들기까지 필요한 대사과정 및 질병으로 인한 비정상적 대사를 심도 있게 이해하여 수의사로서 필요한 지식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English

    Animals must generate energy through ingestion and metabolism to sustain life, and use that energy appropriately. Problems with this energy use can lead to illness. This course aims to learn the knowledge necessary as a veterinarian by in-depth understanding of metabolic processes and abnormal metabolism due to disease to make energy.

닫기
1/2학기 전필 4362065
실험동물의학및실험2 (Laboratory Animal Medical Science and Laboratory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65
  • 교과목명 : 실험동물의학및실험2 (Laboratory Animal Medical Science and Labora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 및 의생명과학에서 필요로하는 실험동물의 과학적인 이용과 특성에 대하여 이해한다. 실험동물의학및 실험2에서는 실험동물의 질병과 예방관리를 중심으로 하는 수의학적 관리에 대하여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다. 중점적 수업 내용은 실험동물의 사용과 관리에 있어서 필수적인 시설운영 관리 및 실험동물의 모니터링, 실험동물의 질병관리, 유전 육종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관리를 이해하고 실험동물 수의사로서 필요한 기본적인 동물을 다루는 수기와 운영관리 요령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숙지한다.

    • English

      Understand the scientific uses and characteristics of laboratory animals needed in veterinary medicine. In experimental animal medicine and experiment 2, veterinary management focused on disease and preventive management of experimental animals can be understood and practiced. The focus of the course will be to understand the basic animal skills necessary for an experimental animal veterinarian and to understand the veterinary management including facility operation management, laboratory animal monitoring, laboratory animal disease management, and genetic breeding. This course focuses on the operational management tip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 및 의생명과학에서 필요로하는 실험동물의 과학적인 이용과 특성에 대하여 이해한다. 실험동물의학및 실험2에서는 실험동물의 질병과 예방관리를 중심으로 하는 수의학적 관리에 대하여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다. 중점적 수업 내용은 실험동물의 사용과 관리에 있어서 필수적인 시설운영 관리 및 실험동물의 모니터링, 실험동물의 질병관리, 유전 육종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관리를 이해하고 실험동물 수의사로서 필요한 기본적인 동물을 다루는 수기와 운영관리 요령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숙지한다.

  • English

    Understand the scientific uses and characteristics of laboratory animals needed in veterinary medicine. In experimental animal medicine and experiment 2, veterinary management focused on disease and preventive management of experimental animals can be understood and practiced. The focus of the course will be to understand the basic animal skills necessary for an experimental animal veterinarian and to understand the veterinary management including facility operation management, laboratory animal monitoring, laboratory animal disease management, and genetic breeding. This course focuses on the operational management tips.

닫기
1/2학기 전필 4362184
수의면역학및실험 (Veterinary Immunology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84
  • 교과목명 : 수의면역학및실험 (Veterinary Immunology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감염 및 비감염성 항원자극으로 인해 숙주의 면역시스템 작동원리와 질병의 발생원인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질병상태에서 다양한 면역세포의 특성과 기능을 세포단위로 학습하여 질병의 이해와 예방법을 학습한다. 학생은 질병의 원인을 이해하여 효과적인 치료 및 예방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 English

      We are aiming to study immunopathogenesis by infectious and non-infectious antigens that develops various diseases in animals. The lecture is focusing on understanding basic immunologic features of different immune cells and developing novel therapeutics in control of animal disease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감염 및 비감염성 항원자극으로 인해 숙주의 면역시스템 작동원리와 질병의 발생원인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질병상태에서 다양한 면역세포의 특성과 기능을 세포단위로 학습하여 질병의 이해와 예방법을 학습한다. 학생은 질병의 원인을 이해하여 효과적인 치료 및 예방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 English

    We are aiming to study immunopathogenesis by infectious and non-infectious antigens that develops various diseases in animals. The lecture is focusing on understanding basic immunologic features of different immune cells and developing novel therapeutics in control of animal diseases.

닫기
2/1학기 전필 4362013
수의기생충학및실험1 (Veterinary Parasitology and Laboratory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13
  • 교과목명 : 수의기생충학및실험1 (Veterinary Parasitology and Labora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적으로 중요한 기생충 및 절지동물, 그리고 이들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과 검사 방법의 습득, 각 기생충의 형태를 보고 종의 구분, 생활사, 진단방법을 알아야 한다. 동물 및 사람에 감염되는 주요 기생충의 형태, 생활사 등을 강의하고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기생충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실제 의료 현장에서 필요한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parasites and arthropods that are important in veterinary medicine. And it also covers fundamental knowledge and testing methods about the diseases occurred by those pathogens. In the end of this course, students will be able to distinguish each parasite’s species, life cycle and diagnostic methods with other ones. This course will teach morphology, life cycle and other extra things about mainly important parasites that infect animals and people. Students will learn those things with practical exercise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ho took this course will be able to give diagnosis and treatment in local veterinary medical field, utilizing parasitologic knowledge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적으로 중요한 기생충 및 절지동물, 그리고 이들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과 검사 방법의 습득, 각 기생충의 형태를 보고 종의 구분, 생활사, 진단방법을 알아야 한다. 동물 및 사람에 감염되는 주요 기생충의 형태, 생활사 등을 강의하고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기생충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실제 의료 현장에서 필요한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parasites and arthropods that are important in veterinary medicine. And it also covers fundamental knowledge and testing methods about the diseases occurred by those pathogens. In the end of this course, students will be able to distinguish each parasite’s species, life cycle and diagnostic methods with other ones. This course will teach morphology, life cycle and other extra things about mainly important parasites that infect animals and people. Students will learn those things with practical exercise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ho took this course will be able to give diagnosis and treatment in local veterinary medical field, utilizing parasitologic knowledges.

닫기
2/1학기 전필 4362014
수의병리학및실험1 (Veterinary Pathology and Laboratory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14
  • 교과목명 : 수의병리학및실험1 (Veterinary Pathology and Labora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4-3-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질병의 본질적 성질을 연구하는 분야로서 병을 일으킨 신체의 조직이나 기관의 기질적 변화 및 기능적 변화를 이해한다. 2) 세포, 조직, 장기의 병리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표본을 육안 및 현미경을 이용해 검사하고 질병에 침범되었을 때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학습한다. 3) 다양한 질병 상황에서 환자의 세포, 조직, 장기의 병리적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하고 임상현장에서 진단하고 질병의 개선을 위해 적용할 수 있다.

    • English

      1) As a field of studying the essential properties of diseases, understanding the organic and functional changes in the tissues and organs of the body that caused the disease. 2) To understand pathological changes in cells, tissues, and organs, specimens are examined using the naked eye and a microscope and learn what happens when a disease is involved. 3) Students understand how pathological changes in a patient's cells, tissues, and organs occur in a variety of disease situations, and can be diagnosed in the clinical setting and applied to improve disease.

    닫기
4 3 2 상세보기
  • 국문

    1) 질병의 본질적 성질을 연구하는 분야로서 병을 일으킨 신체의 조직이나 기관의 기질적 변화 및 기능적 변화를 이해한다. 2) 세포, 조직, 장기의 병리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표본을 육안 및 현미경을 이용해 검사하고 질병에 침범되었을 때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학습한다. 3) 다양한 질병 상황에서 환자의 세포, 조직, 장기의 병리적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하고 임상현장에서 진단하고 질병의 개선을 위해 적용할 수 있다.

  • English

    1) As a field of studying the essential properties of diseases, understanding the organic and functional changes in the tissues and organs of the body that caused the disease. 2) To understand pathological changes in cells, tissues, and organs, specimens are examined using the naked eye and a microscope and learn what happens when a disease is involved. 3) Students understand how pathological changes in a patient's cells, tissues, and organs occur in a variety of disease situations, and can be diagnosed in the clinical setting and applied to improve disease.

닫기
2/1학기 전필 4362015
수의약리학및실험1 (Veterinary Pharmacology and Laboratory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15
  • 교과목명 : 수의약리학및실험1 (Veterinary Pharmacology and Labora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임상 현장에서 수의사가 사용하는 약물에 대해 이해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약물의 종류, 약물의 작용기전 및 부작용을 학습한다. 학생은 여러 질병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에 관해 설명할 수 있으며, 임상 현장에서 적절한 약물 선택을 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e lesson is to understand the medications used by veterinarians in the veterinary clinic. In class, we study the types of drugs, the mechanism of action, and the side effects of drugs. Students will be able to explain the various drugs used in various diseases and choose appropriate drug in the clinic.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임상 현장에서 수의사가 사용하는 약물에 대해 이해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약물의 종류, 약물의 작용기전 및 부작용을 학습한다. 학생은 여러 질병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에 관해 설명할 수 있으며, 임상 현장에서 적절한 약물 선택을 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e lesson is to understand the medications used by veterinarians in the veterinary clinic. In class, we study the types of drugs, the mechanism of action, and the side effects of drugs. Students will be able to explain the various drugs used in various diseases and choose appropriate drug in the clinic.

닫기
2/1학기 전필 4362016
수의독성학및실험1 (Veterinary Toxicology and Laboratory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16
  • 교과목명 : 수의독성학및실험1 (Veterinary Toxicology and Labora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독성물질의 역사, 물리화학적 성질, 생체내 흡수, 분포, 대사, 배설, 각 장기별 독성물질의 생화학적 및 분자적 작용기전, 독성평가 최신 기법등을 학습하며 반려동물의 중독시 치료 및 예방 기법 응용하여 직업 전문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Veterinary toxicology is aimed to study on history of poison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DME, organ toxicity, evaluation methods on various toxicants and aid to learn about professional skills of antidotal therapy.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독성물질의 역사, 물리화학적 성질, 생체내 흡수, 분포, 대사, 배설, 각 장기별 독성물질의 생화학적 및 분자적 작용기전, 독성평가 최신 기법등을 학습하며 반려동물의 중독시 치료 및 예방 기법 응용하여 직업 전문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Veterinary toxicology is aimed to study on history of poison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DME, organ toxicity, evaluation methods on various toxicants and aid to learn about professional skills of antidotal therapy.

닫기
2/1학기 전필 4362062
조류질병학및실험1 (Avian Diseases and Practices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62
  • 교과목명 : 조류질병학및실험1 (Avian Diseases and Practice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조류질병학및실험1은 조류의 바이러스성 및 종양성 질병들의 역사, 원인, 병인기전, 진단, 예방 및 치료를 공부하는 교과목임

    • English

      Avaian diseases and practice I is a subject that studies history, etiology, pathogenesis,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vian viral and neoplastic disease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조류질병학및실험1은 조류의 바이러스성 및 종양성 질병들의 역사, 원인, 병인기전, 진단, 예방 및 치료를 공부하는 교과목임

  • English

    Avaian diseases and practice I is a subject that studies history, etiology, pathogenesis,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vian viral and neoplastic diseases

닫기
2/1학기 전필 4362064
역학·인수공통질병학및실습 (Epidemiology, Zoonoses and Practice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64
  • 교과목명 : 역학·인수공통질병학및실습 (Epidemiology, Zoonoses and Practices)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인체 감염병의 약 70% 가량이 동물에서 유래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들 감염병의 특성, 원인체, 전파양식, 임상증상, 치료 및 예방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학생들은 주요 인수공통감염병의 기초지식과 수의질병에서 역학의 적용법, 적용사례 및 접근법을 배우고, 다양한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함은 물론, 감염병 제어 및 관리방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 English

      About 70% of human infectious diseases originate in animals. This course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nfectious diseases, causative agents, propagation patterns, clinical symptoms, treatment and prevention. Students learn the basic knowledge of major infectious diseases and how to apply epidemiology in veterinary diseases, examples, and approaches, and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various infectious diseases, as well as understanding how to control and manage infectious disease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인체 감염병의 약 70% 가량이 동물에서 유래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들 감염병의 특성, 원인체, 전파양식, 임상증상, 치료 및 예방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학생들은 주요 인수공통감염병의 기초지식과 수의질병에서 역학의 적용법, 적용사례 및 접근법을 배우고, 다양한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함은 물론, 감염병 제어 및 관리방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 English

    About 70% of human infectious diseases originate in animals. This course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nfectious diseases, causative agents, propagation patterns, clinical symptoms, treatment and prevention. Students learn the basic knowledge of major infectious diseases and how to apply epidemiology in veterinary diseases, examples, and approaches, and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various infectious diseases, as well as understanding how to control and manage infectious diseases.

닫기
2/1학기 전필 4362121
수의전염병학및실습1 (Veterinary Infectious Diseases and Laboratory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21
  • 교과목명 : 수의전염병학및실습1 (Veterinary Infectious Diseases and Labora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본과 2학년을 대상으로 한다. 수의사로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의 원인체의 특성, 역학, 임상증상 및 병리학적 병변, 원인체와 숙주에서의 진단방법, 치료 방법, 사양관리 및 백신을 통한 예방법을 학습하며 현장에서의 적용할 수 있는 응용력을 함양한다.

    • English

      Subjected to the second year of veterinary medicine.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al pathogens of viral infectious diseases, epidemiology, clinical symptoms and pathological lesions, diagnostic methods for identification and serology, and control and prevention by management and vaccination, and to cultivate application skills that can be applied on-site as a veterinarian.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본과 2학년을 대상으로 한다. 수의사로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의 원인체의 특성, 역학, 임상증상 및 병리학적 병변, 원인체와 숙주에서의 진단방법, 치료 방법, 사양관리 및 백신을 통한 예방법을 학습하며 현장에서의 적용할 수 있는 응용력을 함양한다.

  • English

    Subjected to the second year of veterinary medicine.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al pathogens of viral infectious diseases, epidemiology, clinical symptoms and pathological lesions, diagnostic methods for identification and serology, and control and prevention by management and vaccination, and to cultivate application skills that can be applied on-site as a veterinarian.

닫기
2/1학기 전필 4362122
수생동물질병학 (Fish Disease and Clinical Practice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22
  • 교과목명 : 수생동물질병학 (Fish Disease and Clinical Practices)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생환경의 기본적인 이해와 어류의 기본적인 생태 및 형태를 이해한다. 주요 양식어종 및 해수어종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원인을 이해하고 어류질병에 대한 수의사의 역할을 학습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aquatic environment and understand the basic ecology and shape of fish. Understand the causes of diseases occurring in major aquatic and marine fish species and learn the role of veterinarians in fish disease.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수생환경의 기본적인 이해와 어류의 기본적인 생태 및 형태를 이해한다. 주요 양식어종 및 해수어종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원인을 이해하고 어류질병에 대한 수의사의 역할을 학습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aquatic environment and understand the basic ecology and shape of fish. Understand the causes of diseases occurring in major aquatic and marine fish species and learn the role of veterinarians in fish disease.

닫기
2/2학기 전필 4362020
수의기생충학및실험2 (Veterinary Parasitology and Laboratory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20
  • 교과목명 : 수의기생충학및실험2 (Veterinary Parasitology and Labora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적으로 중요한 기생충 및 절지동물, 그리고 이들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과 검사 방법의 습득, 각 기생충의 형태를 보고 종의 구분, 생활사, 진단방법을 알아야 한다. 동물 및 사람에 감염되는 주요 기생충의 형태, 생활사 등을 강의하고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기생충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실제 의료 현장에서 필요한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parasites and arthropods that are important in veterinary medicine. And it also covers fundamental knowledge and testing methods about the diseases occurred by those pathogens. In the end of this course, students will be able to distinguish each parasite’s species, life cycle and diagnostic methods with other ones. This course will teach morphology, life cycle and other extra things about mainly important parasites that infect animals and people. Students will learn those things with practical exercise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ho took this course will be able to give diagnosis and treatment in local veterinary medical field, utilizing parasitologic knowledge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적으로 중요한 기생충 및 절지동물, 그리고 이들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과 검사 방법의 습득, 각 기생충의 형태를 보고 종의 구분, 생활사, 진단방법을 알아야 한다. 동물 및 사람에 감염되는 주요 기생충의 형태, 생활사 등을 강의하고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기생충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실제 의료 현장에서 필요한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parasites and arthropods that are important in veterinary medicine. And it also covers fundamental knowledge and testing methods about the diseases occurred by those pathogens. In the end of this course, students will be able to distinguish each parasite’s species, life cycle and diagnostic methods with other ones. This course will teach morphology, life cycle and other extra things about mainly important parasites that infect animals and people. Students will learn those things with practical exercise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ho took this course will be able to give diagnosis and treatment in local veterinary medical field, utilizing parasitologic knowledges.

닫기
2/2학기 전필 4362021
수의병리학및실험2 (Veterinary Pathology and Laboratory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21
  • 교과목명 : 수의병리학및실험2 (Veterinary Pathology and Labora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4-3-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질병의 본질적 성질을 연구하는 분야로서 병을 일으킨 신체의 조직이나 기관의 기질적 변화 및 기능적 변화를 이해한다. 2) 세포, 조직, 장기의 병리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표본을 육안 및 현미경을 이용해 검사하고 질병에 침범되었을 때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학습한다. 3) 다양한 질병 상황에서 환자의 세포, 조직, 장기의 병리적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하고 임상현장에서 진단하고 질병의 개선을 위해 적용할 수 있다.

    • English

      1) As a field of studying the essential properties of diseases, understanding the organic and functional changes in the tissues and organs of the body that caused the disease. 2) To understand pathological changes in cells, tissues, and organs, specimens are examined using the naked eye and a microscope and learn what happens when a disease is involved. 3) Students understand how pathological changes in a patient's cells, tissues, and organs occur in a variety of disease situations, and can be diagnosed in the clinical setting and applied to improve disease.

    닫기
4 3 2 상세보기
  • 국문

    1) 질병의 본질적 성질을 연구하는 분야로서 병을 일으킨 신체의 조직이나 기관의 기질적 변화 및 기능적 변화를 이해한다. 2) 세포, 조직, 장기의 병리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표본을 육안 및 현미경을 이용해 검사하고 질병에 침범되었을 때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학습한다. 3) 다양한 질병 상황에서 환자의 세포, 조직, 장기의 병리적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하고 임상현장에서 진단하고 질병의 개선을 위해 적용할 수 있다.

  • English

    1) As a field of studying the essential properties of diseases, understanding the organic and functional changes in the tissues and organs of the body that caused the disease. 2) To understand pathological changes in cells, tissues, and organs, specimens are examined using the naked eye and a microscope and learn what happens when a disease is involved. 3) Students understand how pathological changes in a patient's cells, tissues, and organs occur in a variety of disease situations, and can be diagnosed in the clinical setting and applied to improve disease.

닫기
2/2학기 전필 4362022
수의약리학및실험2 (Veterinary Pharmacology and Laboratory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22
  • 교과목명 : 수의약리학및실험2 (Veterinary Pharmacology and Labora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임상 현장에서 수의사가 사용하는 약물에 대해 이해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약물의 종류, 약물의 작용기전 및 부작용을 학습한다. 학생은 여러 질병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에 관해 설명할 수 있으며, 임상 현장에서 적절한 약물 선택을 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e lesson is to understand the medications used by veterinarians in the veterinary clinic. In class, we study the types of drugs, the mechanism of action, and the side effects of drugs. Students will be able to explain the various drugs used in various diseases and choose appropriate drug in the clinic.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임상 현장에서 수의사가 사용하는 약물에 대해 이해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약물의 종류, 약물의 작용기전 및 부작용을 학습한다. 학생은 여러 질병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에 관해 설명할 수 있으며, 임상 현장에서 적절한 약물 선택을 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e lesson is to understand the medications used by veterinarians in the veterinary clinic. In class, we study the types of drugs, the mechanism of action, and the side effects of drugs. Students will be able to explain the various drugs used in various diseases and choose appropriate drug in the clinic.

닫기
2/2학기 전필 4362023
수의독성학및실험2 (Veterinary Toxicology and Laboratory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23
  • 교과목명 : 수의독성학및실험2 (Veterinary Toxicology and Labora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독성물질의 역사, 물리화학적 성질, 생체내 흡수, 분포, 대사, 배설, 각 장기별 독성물질의 생화학적 및 분자적 작용기전, 독성평가 최신 기법등을 학습하며 반려동물의 중독시 치료 및 예방 기법 응용하여 직업 전문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Veterinary toxicology is aimed to study on history of poison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DME, organ toxicity, evaluation methods on various toxicants and aid to learn about professional skills of antidotal therapy.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독성물질의 역사, 물리화학적 성질, 생체내 흡수, 분포, 대사, 배설, 각 장기별 독성물질의 생화학적 및 분자적 작용기전, 독성평가 최신 기법등을 학습하며 반려동물의 중독시 치료 및 예방 기법 응용하여 직업 전문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Veterinary toxicology is aimed to study on history of poison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DME, organ toxicity, evaluation methods on various toxicants and aid to learn about professional skills of antidotal therapy.

닫기
2/2학기 전필 4362063
조류질병학및실험2 (Avian Diseases and Practices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63
  • 교과목명 : 조류질병학및실험2 (Avian Diseases and Practice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조류질병학및실험2은 조류의 세균성, 곰팡이성 및 기생충성 질병들의 역사, 원인, 병인기전, 진단, 예방 및 치료를 공부하는 교과목임

    • English

      Avaian diseases and practice 2 is a subject that studies history, etiology, pathogenesis,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vian bacterial, fungal and prasitic disease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조류질병학및실험2은 조류의 세균성, 곰팡이성 및 기생충성 질병들의 역사, 원인, 병인기전, 진단, 예방 및 치료를 공부하는 교과목임

  • English

    Avaian diseases and practice 2 is a subject that studies history, etiology, pathogenesis,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vian bacterial, fungal and prasitic diseases

닫기
2/2학기 전필 4362123
식품위생학및실험 (Food Sanitation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23
  • 교과목명 : 식품위생학및실험 (Food Sanitation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식품위생학의 이론을 토대로 농장에서 식탁에 이르는 과정에서 식품의 안전성 관리방법과 국제적인 동향을 공부한다.

    • English

      Based on the theory of food hygiene, we study the process of food safety management and the process from farm to table according to international trend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식품위생학의 이론을 토대로 농장에서 식탁에 이르는 과정에서 식품의 안전성 관리방법과 국제적인 동향을 공부한다.

  • English

    Based on the theory of food hygiene, we study the process of food safety management and the process from farm to table according to international trends.

닫기
2/2학기 전필 4362124
환경위생학 (Environmental Sanitation)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24
  • 교과목명 : 환경위생학 (Environmental Sanit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전통적 개념의 질병 발생은 병원체, 숙주, 환경요소를 포함한다. 특히 환경요소에 의한 질병의 확산은 최근 원헬스 개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환경의 정의 및 구성요소, 환경오염의 분류, 원인 및 특성, 오염 저감화 방안 등 환경위생의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국내외 환경오염 저감화를 위한 개인, 사회, 국가적 노력들에 대한 당위성을 이해하고, 환경오염 유발 인자들에 대한 제어를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할 수 있다.

    • English

      The traditional concept of disease incidence includes pathogens, host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particular, the spread of disease by environmental factors emphasizes the need for the concept of one-health in recent years. In this course, you will learn basic knowledge of environmental hygiene, such as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the environment, classific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s and characteristics, and ways to reduce pollution. Students can understand the legitimacy of individual, social, and national efforts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t home and abroad, and can offer a variety of measures to control environmental factors.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전통적 개념의 질병 발생은 병원체, 숙주, 환경요소를 포함한다. 특히 환경요소에 의한 질병의 확산은 최근 원헬스 개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환경의 정의 및 구성요소, 환경오염의 분류, 원인 및 특성, 오염 저감화 방안 등 환경위생의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국내외 환경오염 저감화를 위한 개인, 사회, 국가적 노력들에 대한 당위성을 이해하고, 환경오염 유발 인자들에 대한 제어를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할 수 있다.

  • English

    The traditional concept of disease incidence includes pathogens, host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particular, the spread of disease by environmental factors emphasizes the need for the concept of one-health in recent years. In this course, you will learn basic knowledge of environmental hygiene, such as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the environment, classific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s and characteristics, and ways to reduce pollution. Students can understand the legitimacy of individual, social, and national efforts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t home and abroad, and can offer a variety of measures to control environmental factors.

닫기
2/2학기 전필 4362131
수의전염병학및실습2 (Veterinary Infectious Diseases and Laboratory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31
  • 교과목명 : 수의전염병학및실습2 (Veterinary Infectious Diseases and Labora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본과 2학년을 대상으로 한다. 수의사로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세균성 전염병의 원인체의 특성, 역학, 임상증상 및 병리학적 병변, 원인체와 숙주에서의 진단방법, 치료 방법, 사양관리 및 백신을 통한 예방법을 학습하며 현장에서의 적용할 수 있는 응용력을 함양한다.

    • English

      Subjected to the second year of veterinary medicine.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terial pathogens of bacterial infectious diseases, epidemiology, clinical symptoms and pathological lesions, diagnostic methods for identification and serology, and control and prevention by management and vaccination, and to cultivate application skills that can be applied on-site as a veterinarian.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본과 2학년을 대상으로 한다. 수의사로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세균성 전염병의 원인체의 특성, 역학, 임상증상 및 병리학적 병변, 원인체와 숙주에서의 진단방법, 치료 방법, 사양관리 및 백신을 통한 예방법을 학습하며 현장에서의 적용할 수 있는 응용력을 함양한다.

  • English

    Subjected to the second year of veterinary medicine.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terial pathogens of bacterial infectious diseases, epidemiology, clinical symptoms and pathological lesions, diagnostic methods for identification and serology, and control and prevention by management and vaccination, and to cultivate application skills that can be applied on-site as a veterinarian.

닫기
3/1학기 전필 4362028
수의내과학및실습1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and Practices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28
  • 교과목명 : 수의내과학및실습1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and Practice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4-3-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①실질적인 임상인 수의내과학의 지식 및 적용 기술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② 각 구조별로 질환과 치료 관련 지식을 강화한다. ③ 학습한 수의내과학 지식을 임상, 연구 현장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 English

      ①The go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and practice2 is learning clinical part of veterinary medicine via lectures and practice. ② This lecture enhances basic knowledge about diseases and treatment in clinical case. ③ Students could apply the knowledge had learned in class to clinic and research.

    닫기
4 3 2 상세보기
  • 국문

    ①실질적인 임상인 수의내과학의 지식 및 적용 기술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② 각 구조별로 질환과 치료 관련 지식을 강화한다. ③ 학습한 수의내과학 지식을 임상, 연구 현장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 English

    ①The go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and practice2 is learning clinical part of veterinary medicine via lectures and practice. ② This lecture enhances basic knowledge about diseases and treatment in clinical case. ③ Students could apply the knowledge had learned in class to clinic and research.

닫기
3/1학기 전필 4362029
수의외과학및실습1 (Veterinary Surgery and Practices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29
  • 교과목명 : 수의외과학및실습1 (Veterinary Surgery and Practice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4-3-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외과학 및 실습 1은 2개 학기 과정의 수의외과학 강의 중에 전반기 한학기 과정이다. 강의목표는 수의외과의 기본원리를 이해하는데 있다. 이 과정은 수의외과분야의 총론, 수의안과 기초과정, 그리고 마취학을 포함한다.

    • English

      Veterinary Surgery and Laboratory 1 is the first half of a two-semester sequence. Course objectives is to build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that govern the fundamentals of Veterinary Surgery. This course includes the general principle of Veterinary Surgery, basic course of Ophthalmology, and Anesthesiology, in the fields of Veterinary Sciences.

    닫기
4 3 2 상세보기
  • 국문

    수의외과학 및 실습 1은 2개 학기 과정의 수의외과학 강의 중에 전반기 한학기 과정이다. 강의목표는 수의외과의 기본원리를 이해하는데 있다. 이 과정은 수의외과분야의 총론, 수의안과 기초과정, 그리고 마취학을 포함한다.

  • English

    Veterinary Surgery and Laboratory 1 is the first half of a two-semester sequence. Course objectives is to build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that govern the fundamentals of Veterinary Surgery. This course includes the general principle of Veterinary Surgery, basic course of Ophthalmology, and Anesthesiology, in the fields of Veterinary Sciences.

닫기
3/1학기 전필 4362106
수의영상진단학및실습1 (Veterinary Diagnostic Imaging and Practices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06
  • 교과목명 : 수의영상진단학및실습1 (Veterinary Diagnostic Imaging and Practice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동물의 각 장기에 대한 정상적인 방사선 영상과 질환에 따른 변화를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음파,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에 대한 기본 지식에 대하여 학습한다. 학생은 임상 현장에서 방사선 영상을 활용할 수 있다.

    • English

      It is a course for the third year in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It aims to learn not only the normal anatomy and pathologic changes of radiographs in animals, but also basic principle of ultrasound,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ents can use a radiography in veterinary clinic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동물의 각 장기에 대한 정상적인 방사선 영상과 질환에 따른 변화를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음파,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에 대한 기본 지식에 대하여 학습한다. 학생은 임상 현장에서 방사선 영상을 활용할 수 있다.

  • English

    It is a course for the third year in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It aims to learn not only the normal anatomy and pathologic changes of radiographs in animals, but also basic principle of ultrasound,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ents can use a radiography in veterinary clinics.

닫기
3/1학기 전필 4362126
수의임상병리학및실습1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and Practices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26
  • 교과목명 : 수의임상병리학및실습1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and Practice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①이 교과목의 목표는 질병진단, 병인규명, 예후판정을 위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및 기타 임상검체에 대하여 다양한 장비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그 결과를 정성 및 정량적으로 해석하는 방법과 기술을 학습하는 것이다. ②동물질병진단에 있어 주요 검사내용과 항목은 다음과 같으며, 특히 수의임상병리학 및 실습1에서는 혈액학, 수혈의학, 체액, 전해질, 산-염기평형에 대한 강의와 검사방법에 대한 실습을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혈액학: 전혈구검사, 백혈구 감별계산 -혈청화학: 알부민, 총 단백질, 콜레스테롤, 빌리루빈,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당, 크레아틴인산활성효소 (CPK), 나트륨, 칼륨, 염소, 칼슘, 인, 마그네슘, 유산탈수 효소 (LDH), 알라닌 아미노 전이 효소(ALT),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기 전달 효소 (AST),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GGT),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ALP) etc. -응고계검사: 볼점막 출혈시간,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프로트롬빈시간, -요검사: 요비중, 딥스틱을 이용한 화학검사, 요침사 검사 -체액검사: 체액의 분류, 화학적 검사, 세포학적 검사 -내분비, 면역학 검사: 항핵항체검사, 쿰즈검사, 코티솔, 감상샘호르몬 etc. -수혈의학: 혈액형검사, 교차시험 ③임상병리학의 기초 이론과 원리를 습득하여 다양한 임상상황에 적절한 검사기법을 선택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English

      ①The objectives of this course are to examine methods and techniques for the examination of the blood, urine, and other clinical specimens obtained from animals using various equipment and to interpret the result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or disease diagnosis, pathogenesis, and prognosis. ②The main test contents and parameters in the diagnosis of animal diseases are as follows: -Hematology: CBC (complete blood cell count), WBC differential count -Serum chemistry: Albumin, Total protein, Cholesterol, Bilirubin, Amylase, Lipase,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Glucose, creatine phosphokinase (CPK), Na, K, Cl, Ca, P, Mg, lactate dehydrogenase (LDH),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GGT), alkaline phosphatase (ALP) etc. -Coagulation test: buccal mucosal bleeding times (BMB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prothrombin time (PT) -Urinalysis: urine specific gravity, chemistry test using dip stick, urine sedimentation test -Body fluid: classification, chemistry test for body fluid, cytological examination of body fluid -Endocrinology, Immunology: ANA test, Coombs’test, Cortisol, T4 etc. -Transfusion medicine: Blood typing, Cross matching In particular, in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and Practices 1, lectures and practices in hematology, transfusion medicine, and studies of body fluids, electrolytes, and acid?base equilibrium are offered. ③The basic theories and principles of clinical pathology will be taught to cultivate the ability to select and interpret appropriate test methods for various clinical situation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①이 교과목의 목표는 질병진단, 병인규명, 예후판정을 위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및 기타 임상검체에 대하여 다양한 장비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그 결과를 정성 및 정량적으로 해석하는 방법과 기술을 학습하는 것이다. ②동물질병진단에 있어 주요 검사내용과 항목은 다음과 같으며, 특히 수의임상병리학 및 실습1에서는 혈액학, 수혈의학, 체액, 전해질, 산-염기평형에 대한 강의와 검사방법에 대한 실습을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혈액학: 전혈구검사, 백혈구 감별계산 -혈청화학: 알부민, 총 단백질, 콜레스테롤, 빌리루빈,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당, 크레아틴인산활성효소 (CPK), 나트륨, 칼륨, 염소, 칼슘, 인, 마그네슘, 유산탈수 효소 (LDH), 알라닌 아미노 전이 효소(ALT),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기 전달 효소 (AST),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GGT),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ALP) etc. -응고계검사: 볼점막 출혈시간,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프로트롬빈시간, -요검사: 요비중, 딥스틱을 이용한 화학검사, 요침사 검사 -체액검사: 체액의 분류, 화학적 검사, 세포학적 검사 -내분비, 면역학 검사: 항핵항체검사, 쿰즈검사, 코티솔, 감상샘호르몬 etc. -수혈의학: 혈액형검사, 교차시험 ③임상병리학의 기초 이론과 원리를 습득하여 다양한 임상상황에 적절한 검사기법을 선택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English

    ①The objectives of this course are to examine methods and techniques for the examination of the blood, urine, and other clinical specimens obtained from animals using various equipment and to interpret the result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or disease diagnosis, pathogenesis, and prognosis. ②The main test contents and parameters in the diagnosis of animal diseases are as follows: -Hematology: CBC (complete blood cell count), WBC differential count -Serum chemistry: Albumin, Total protein, Cholesterol, Bilirubin, Amylase, Lipase,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Glucose, creatine phosphokinase (CPK), Na, K, Cl, Ca, P, Mg, lactate dehydrogenase (LDH),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GGT), alkaline phosphatase (ALP) etc. -Coagulation test: buccal mucosal bleeding times (BMB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prothrombin time (PT) -Urinalysis: urine specific gravity, chemistry test using dip stick, urine sedimentation test -Body fluid: classification, chemistry test for body fluid, cytological examination of body fluid -Endocrinology, Immunology: ANA test, Coombs’test, Cortisol, T4 etc. -Transfusion medicine: Blood typing, Cross matching In particular, in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and Practices 1, lectures and practices in hematology, transfusion medicine, and studies of body fluids, electrolytes, and acid?base equilibrium are offered. ③The basic theories and principles of clinical pathology will be taught to cultivate the ability to select and interpret appropriate test methods for various clinical situations.

닫기
3/1학기 전필 4362127
수의내과학및실습2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and Practices 2)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27
  • 교과목명 : 수의내과학및실습2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and Practice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①실질적인 임상인 수의내과학의 지식 및 적용 기술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② 각 구조별로 질환과 치료 관련 지식을 강화한다. ③ 학습한 수의내과학 지식을 임상, 연구 현장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 English

      ①The go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and practice2 is learning clinical part of veterinary medicine via lectures and practice. ② This lecture enhances basic knowledge about diseases and treatment in clinical case. ③ Students could apply the knowledge had learned in class to clinic and research.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①실질적인 임상인 수의내과학의 지식 및 적용 기술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② 각 구조별로 질환과 치료 관련 지식을 강화한다. ③ 학습한 수의내과학 지식을 임상, 연구 현장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 English

    ①The go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and practice2 is learning clinical part of veterinary medicine via lectures and practice. ② This lecture enhances basic knowledge about diseases and treatment in clinical case. ③ Students could apply the knowledge had learned in class to clinic and research.

닫기
3/1학기 전필 4362174
야생동물질병학및실습1 (Wild Animal Diseases and Practices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74
  • 교과목명 : 야생동물질병학및실습1 (Wild Animal Diseases and Practice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야생 조류의 해부학적(호흡기, 소화기, 비뇨기 등) 구조의 이해를 도우며, 야생동물의 보정법을 습득하고 현장실무 능력을 높여 부상당한 야생동물의 구조, 치료 및 관리요령을 배운다. 동물원 현장견학을 통한 야생동물의 효율적인 치료 및 관리 방법을 연구한다.

    • English

      This course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anatomical structure of wild birds (respiratory organs, digestive organs, urinary organs, etc.), learns how to restraint wild animals, and improves field skills to learn how to rescue, treat and manage injured wildlife. Study on effectiv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wild animals through field trips to zoo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야생 조류의 해부학적(호흡기, 소화기, 비뇨기 등) 구조의 이해를 도우며, 야생동물의 보정법을 습득하고 현장실무 능력을 높여 부상당한 야생동물의 구조, 치료 및 관리요령을 배운다. 동물원 현장견학을 통한 야생동물의 효율적인 치료 및 관리 방법을 연구한다.

  • English

    This course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anatomical structure of wild birds (respiratory organs, digestive organs, urinary organs, etc.), learns how to restraint wild animals, and improves field skills to learn how to rescue, treat and manage injured wildlife. Study on effectiv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wild animals through field trips to zoos.

닫기
3/1학기 전필 4362197
대동물임상학및실습 (Large Animal Medicin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97
  • 교과목명 : 대동물임상학및실습 (Large Animal Medicin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대동물 임상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외과적 처치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 및 술기에 대한 실습 교육을 제공한다. 실습 교육을 통해 대동물의 기본 외상 처치 및 수술적 기법에 대한 술기를 습득한다. 이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대동물 임상 현장에서 치료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수술법에 대해 익힐 수 있으며, 대동물 사양 관리 시 발생하는 응급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understand and practical training on surgical skills commonly performed in the clinical field of large animals. Through practical training, students will acquire skills in basic treatment and surgical techniques for large animals. Students can learn about surgical techniques applied for treatment in large animal clinical fields and perform first aid in emergency situation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대동물 임상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외과적 처치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 및 술기에 대한 실습 교육을 제공한다. 실습 교육을 통해 대동물의 기본 외상 처치 및 수술적 기법에 대한 술기를 습득한다. 이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대동물 임상 현장에서 치료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수술법에 대해 익힐 수 있으며, 대동물 사양 관리 시 발생하는 응급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understand and practical training on surgical skills commonly performed in the clinical field of large animals. Through practical training, students will acquire skills in basic treatment and surgical techniques for large animals. Students can learn about surgical techniques applied for treatment in large animal clinical fields and perform first aid in emergency situations.

닫기
3/1학기 전필 4362201
수의산과학및실습 (Veterinary Obstetrics and Practice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201
  • 교과목명 : 수의산과학및실습 (Veterinary Obstetrics and Practices)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반려동물과 각종 가축의 번식에 있어 생리학적 기능과 해부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생식기관의 해부학, 성 주기, 인공수정 및 임신에 관한 지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론 강의를 통하여 습득한 지식을 실습에 적용하여 생식기관의 각종 이상 및 번식장애를 진단, 처치할 수 있는 술기를 습득한다. 이 과목을 통하여 학생은 각 동물의 정상적인 생식기 해부학 및 성 주기, 인공수정 및 임신에 관한 번식생리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of reproductive physiology including the normal anatomy of reproductive organs, estrous cycle, artificial breeding, and pregnancy establishment in companion and domestic animals. Students will develop clinical skills in rectal examination, artificial insemination, and pregnancy diagnosis through the use of lectures and practices. By the end of this class, students can understand normal reproductive physiology and achieve clinical skills for reproductive management.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반려동물과 각종 가축의 번식에 있어 생리학적 기능과 해부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생식기관의 해부학, 성 주기, 인공수정 및 임신에 관한 지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론 강의를 통하여 습득한 지식을 실습에 적용하여 생식기관의 각종 이상 및 번식장애를 진단, 처치할 수 있는 술기를 습득한다. 이 과목을 통하여 학생은 각 동물의 정상적인 생식기 해부학 및 성 주기, 인공수정 및 임신에 관한 번식생리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of reproductive physiology including the normal anatomy of reproductive organs, estrous cycle, artificial breeding, and pregnancy establishment in companion and domestic animals. Students will develop clinical skills in rectal examination, artificial insemination, and pregnancy diagnosis through the use of lectures and practices. By the end of this class, students can understand normal reproductive physiology and achieve clinical skills for reproductive management.

닫기
3/2학기 전필 4362035
수의외과학및실습2 (Veterinary Surgery and Practices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35
  • 교과목명 : 수의외과학및실습2 (Veterinary Surgery and Practice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4-3-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외과학 및 실습 2는 2개 학기 과정의 수의외과학 강의 중에 후반기 한학기 과정이다. 강의목표는 수술 전후 환자관리를 포함한 수술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질환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 과정은 수의외과분야에서 일반외과, 정형외과, 그리고 신경외과의 기초과정을 다룬다.

    • English

      Veterinary Surgery and Laboratory 1 is the second half of a two-semester sequence. Course objectives is to build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diseases that required the surgery including perioperative care. This course includes basic courses of General Surgery(GS), Orthopedic Surgery(OS), and Neuro Surgery(NS) in the fields of Veterinary Sciences.

    닫기
4 3 2 상세보기
  • 국문

    수의외과학 및 실습 2는 2개 학기 과정의 수의외과학 강의 중에 후반기 한학기 과정이다. 강의목표는 수술 전후 환자관리를 포함한 수술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질환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 과정은 수의외과분야에서 일반외과, 정형외과, 그리고 신경외과의 기초과정을 다룬다.

  • English

    Veterinary Surgery and Laboratory 1 is the second half of a two-semester sequence. Course objectives is to build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diseases that required the surgery including perioperative care. This course includes basic courses of General Surgery(GS), Orthopedic Surgery(OS), and Neuro Surgery(NS) in the fields of Veterinary Sciences.

닫기
3/2학기 전필 4362108
수의영상진단학및실습2 (Veterinary Diagnostic Imaging and Practices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08
  • 교과목명 : 수의영상진단학및실습2 (Veterinary Diagnostic Imaging and Practice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동물의 각 장기에 대한 정상적인 방사선 영상과 질환에 따른 변화를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음파,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에 대한 기본 지식에 대하여 학습한다. 학생은 임상 현장에서 방사선 영상을 활용할 수 있다.

    • English

      It is a course for the third year in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It aims to learn not only the normal anatomy and pathologic changes of radiographs in animals, but also basic principle of ultrasound,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ents can use a radiography in veterinary clinic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동물의 각 장기에 대한 정상적인 방사선 영상과 질환에 따른 변화를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음파,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에 대한 기본 지식에 대하여 학습한다. 학생은 임상 현장에서 방사선 영상을 활용할 수 있다.

  • English

    It is a course for the third year in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It aims to learn not only the normal anatomy and pathologic changes of radiographs in animals, but also basic principle of ultrasound,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ents can use a radiography in veterinary clinics.

닫기
3/2학기 전필 4362128
실험설계론 (Experimental Desig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28
  • 교과목명 : 실험설계론 (Experimental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실험을 설계하고, 실험 후 얻는 각종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을 익히고, 가축전염병 및 역학 관련 자료를 분석하는 기초 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서 작성과 자료수집 방법, 응답지 코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술통계량 작성과 해석, 자료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최적의 그래프 작성, 통계패키지를 사용한 분석 및 역학적 해석을 실증자료로 학습한다. 본 강좌를 통해 학생은 역학 관련 자료를 올바르게 수집하고, 실험계획서 작성과 관련한 절차를 이해하며, 분석결과를 해석하고 역학적 관점에서 예방조치 수단을 도출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is intended to provide undergraduate working on introductory concepts of a scientific experiment and statistical analysis. Students will gain i) an understanding of research design, ii) be familiar with the key fundamentals of epidemiological experimentation, iii) be familiar with the basic principles for the analysis, including identification of significant treatment effects, and iv) understand some of the common techniques for software analysis, focusing on correct experimental design. Graduate students with little or no experimental experience should take this class prior to the advanced biostatistic course. Upon successfully completing this course, students will be able to collect epidemiological data, understand basic principles of experimental design and plot layout, perform a correct statistical analysis on a set of epidemiological data, and interpret the results of software analysi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실험을 설계하고, 실험 후 얻는 각종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을 익히고, 가축전염병 및 역학 관련 자료를 분석하는 기초 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서 작성과 자료수집 방법, 응답지 코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술통계량 작성과 해석, 자료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최적의 그래프 작성, 통계패키지를 사용한 분석 및 역학적 해석을 실증자료로 학습한다. 본 강좌를 통해 학생은 역학 관련 자료를 올바르게 수집하고, 실험계획서 작성과 관련한 절차를 이해하며, 분석결과를 해석하고 역학적 관점에서 예방조치 수단을 도출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is intended to provide undergraduate working on introductory concepts of a scientific experiment and statistical analysis. Students will gain i) an understanding of research design, ii) be familiar with the key fundamentals of epidemiological experimentation, iii) be familiar with the basic principles for the analysis, including identification of significant treatment effects, and iv) understand some of the common techniques for software analysis, focusing on correct experimental design. Graduate students with little or no experimental experience should take this class prior to the advanced biostatistic course. Upon successfully completing this course, students will be able to collect epidemiological data, understand basic principles of experimental design and plot layout, perform a correct statistical analysis on a set of epidemiological data, and interpret the results of software analysis.

닫기
3/2학기 전필 4362129
수의임상병리학및실습2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and Practices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29
  • 교과목명 : 수의임상병리학및실습2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and Practice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①이 교과목의 목표는 각종 장기의 기능검사 및 질병의 임상병리학적 진단에 대한 종합적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②수의임상에 있어, 병력청취 및 신체검사로 가진단된 것을 임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으며, 각종 질병의 감별진단에 임상병리학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또한 수의임상병리학은 비임상분야의 전임상실험의 결과해석에도 필수적이다. 수의임상병리학및실습2에서는 혈청화학검사, 호르몬검사, 각종실질장기에 대한 검사법에 대하여 이론강의하며 강의내용에 대해서는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의 검사결과에 근거하여 실습하고 해석하는 방법론을 습득한다. ③각종 장기의 기능검사 및 질병의 임상병리학적 진단에 대한 종합적 능력을 함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1학기에 강의한 혈액학과 통합하여 자료를 해석하기 때문에 좀 더 광범위하고 객관적인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English

      ①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cultivate a comprehensive capacity for functional testing of the organs and the clinicopathological diagnosis of various diseases. ②In veterinary clinics, the tentative diagnosis based on medical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clinic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linical pathology is essential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various diseases.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is also essential for the interpretation of preclinical studies in nonclinical areas. In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and Practices 2, theoretical lectures are delivered on serum chemistry, hormonal tests, and examination of various organs.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methodology of practicing and interpreting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patients that visit the animal hospital. ③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comprehensive capacity for functional tests of various organs and the clinicopathologic diagnosis of diseases.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more comprehensive and objective interpretation will be possible because the data are interpreted by integrating the hematology lectures in the first semester.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①이 교과목의 목표는 각종 장기의 기능검사 및 질병의 임상병리학적 진단에 대한 종합적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②수의임상에 있어, 병력청취 및 신체검사로 가진단된 것을 임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으며, 각종 질병의 감별진단에 임상병리학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또한 수의임상병리학은 비임상분야의 전임상실험의 결과해석에도 필수적이다. 수의임상병리학및실습2에서는 혈청화학검사, 호르몬검사, 각종실질장기에 대한 검사법에 대하여 이론강의하며 강의내용에 대해서는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의 검사결과에 근거하여 실습하고 해석하는 방법론을 습득한다. ③각종 장기의 기능검사 및 질병의 임상병리학적 진단에 대한 종합적 능력을 함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1학기에 강의한 혈액학과 통합하여 자료를 해석하기 때문에 좀 더 광범위하고 객관적인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English

    ①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cultivate a comprehensive capacity for functional testing of the organs and the clinicopathological diagnosis of various diseases. ②In veterinary clinics, the tentative diagnosis based on medical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clinic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linical pathology is essential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various diseases.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is also essential for the interpretation of preclinical studies in nonclinical areas. In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and Practices 2, theoretical lectures are delivered on serum chemistry, hormonal tests, and examination of various organs.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methodology of practicing and interpreting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patients that visit the animal hospital. ③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comprehensive capacity for functional tests of various organs and the clinicopathologic diagnosis of diseases.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more comprehensive and objective interpretation will be possible because the data are interpreted by integrating the hematology lectures in the first semester.

닫기
3/2학기 전필 4362132
야생동물질병학및실습2 (Wild Animal Diseases and Practices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32
  • 교과목명 : 야생동물질병학및실습2 (Wild Animal Diseases and Practice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야생동물의 군집과 개체에 발생하는 질병(인수공통감염병)의 예방관리 및 유전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구조활동 등을 습득한다. 부상당한 야생동물의 구조, 치료 및 관리요령을 배운다. 멸종위기종(산양, 수달) 복원센터 현장견학을 통한 멸종위기종의 효율적인 복원, 치료 및 관리 방법을 연구한다.

    • English

      Students will acquire rescue activitiesto prevent and control diseases that occur in communities and individuals of wild animals and preserve genetic resources. Learn how to rescue, treat and care for injured wildlife. Study on efficient restoration, treatment and management of endangered species through field trips to Endangered Species (Amur goral, European otter) Restoration Center.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야생동물의 군집과 개체에 발생하는 질병(인수공통감염병)의 예방관리 및 유전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구조활동 등을 습득한다. 부상당한 야생동물의 구조, 치료 및 관리요령을 배운다. 멸종위기종(산양, 수달) 복원센터 현장견학을 통한 멸종위기종의 효율적인 복원, 치료 및 관리 방법을 연구한다.

  • English

    Students will acquire rescue activitiesto prevent and control diseases that occur in communities and individuals of wild animals and preserve genetic resources. Learn how to rescue, treat and care for injured wildlife. Study on efficient restoration, treatment and management of endangered species through field trips to Endangered Species (Amur goral, European otter) Restoration Center.

닫기
3/2학기 전필 4362198
수의산과학 (Veterinary Obstetric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98
  • 교과목명 : 수의산과학 (Veterinary Obstetr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각종 동물에서 정상적인 분만과정, 난산의 진단 및 처치, 산욕기 질병, 번식장애 및 체외수정과 수정란이식 등 동물생명공학에 관한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함양한다. 또한 실습을 통하여 난산, 산욕기 질병 및 각종 번식장애의 진단 및 처치 등 임상수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번식장해 관련 술기를 습득한다. 이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다양한 번식장해의 진단 및 처치 등 반려동물 및 농장동물의 번식관리를 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of clinical reproduction including the normal process of parturition, dystocia, reproductive disorders,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in in companion and farm animals. Students will develop clinical skills in assisted delivery, diagnosis and treatment of dystocia and reproductive disorders through the related part of lectures and practices. By the end of this class, students can manage reproductive disorders and improve reproductive perfomanc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각종 동물에서 정상적인 분만과정, 난산의 진단 및 처치, 산욕기 질병, 번식장애 및 체외수정과 수정란이식 등 동물생명공학에 관한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함양한다. 또한 실습을 통하여 난산, 산욕기 질병 및 각종 번식장애의 진단 및 처치 등 임상수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번식장해 관련 술기를 습득한다. 이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다양한 번식장해의 진단 및 처치 등 반려동물 및 농장동물의 번식관리를 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of clinical reproduction including the normal process of parturition, dystocia, reproductive disorders,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in in companion and farm animals. Students will develop clinical skills in assisted delivery, diagnosis and treatment of dystocia and reproductive disorders through the related part of lectures and practices. By the end of this class, students can manage reproductive disorders and improve reproductive perfomance.

닫기
3/2학기 전필 4362199
대동물임상통합실습 (Large Animal Clinical Practic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99
  • 교과목명 : 대동물임상통합실습 (Large Animal Clinical Practi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대동물 현장에 대한 이해와 대동물 진료를 위해 필요한 기본 술기에 대한 이론적 지식 및 실습 교육을 제공한다. 실습 교육을 통해 대동물의 보정, 신체검사, 진단 및 처치에 대한 술기를 습득한다. 이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대동물 임상 현장에 대한 이해하며, 개체 및 우군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provide the knowledge and practical training on the basic skills for understanding the clinical field of large animals and large animal management. Through practical training, students will learn skills in restriction, physical examin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large animals. Students can understand large animal clinical practice and perform diagnosis and treatment on individuals and herds, through this class.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대동물 현장에 대한 이해와 대동물 진료를 위해 필요한 기본 술기에 대한 이론적 지식 및 실습 교육을 제공한다. 실습 교육을 통해 대동물의 보정, 신체검사, 진단 및 처치에 대한 술기를 습득한다. 이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대동물 임상 현장에 대한 이해하며, 개체 및 우군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provide the knowledge and practical training on the basic skills for understanding the clinical field of large animals and large animal management. Through practical training, students will learn skills in restriction, physical examin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large animals. Students can understand large animal clinical practice and perform diagnosis and treatment on individuals and herds, through this class.

닫기
3/2학기 전선 4362200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200
  • 교과목명 :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3/2학기 전필 4362202
대동물내과학및실습 (Large animal internal medicine and practic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202
  • 교과목명 : 대동물내과학및실습 (Large animal internal medicine and practi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4-3-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수강생의 대동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과 관리방법에 대한 지식을 체계화한다. 대동물의 영양생리, 소화생리, 대사생리 등을 기초로 하여 수액처치, 발굽질병을 비롯한 내과 질병의 총론을 다루며 다양한 질병의 정의, 원인, 기병론,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관리에 대해 학습한다. 수강 학생은 대동물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질병에 대한 기초적 이론을 확립할 것이다.

    • English

      The aim of this class is to increase student’s knowledge of basic concept of large animal diseases, and structurize their knowledge of management method that occurs in farm animals. Based on the nutritional physiology, digestive physiology, and metabolic physiology of farm animals, students will lean an overview of farm animal internal medicine including fluid therapy and hoof management, and discuss the definition, causes, etiology, symptoms,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large animal diseases. Students will establish basic understanding about the medical diseases of large animals in Korea.

    닫기
4 3 2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목은 수강생의 대동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과 관리방법에 대한 지식을 체계화한다. 대동물의 영양생리, 소화생리, 대사생리 등을 기초로 하여 수액처치, 발굽질병을 비롯한 내과 질병의 총론을 다루며 다양한 질병의 정의, 원인, 기병론,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관리에 대해 학습한다. 수강 학생은 대동물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질병에 대한 기초적 이론을 확립할 것이다.

  • English

    The aim of this class is to increase student’s knowledge of basic concept of large animal diseases, and structurize their knowledge of management method that occurs in farm animals. Based on the nutritional physiology, digestive physiology, and metabolic physiology of farm animals, students will lean an overview of farm animal internal medicine including fluid therapy and hoof management, and discuss the definition, causes, etiology, symptoms,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large animal diseases. Students will establish basic understanding about the medical diseases of large animals in Korea.

닫기
3/2학기 전필 4362203
수의응급의학 (Veterinary Emergency Medicin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203
  • 교과목명 : 수의응급의학 (Veterinary Emergency Medicin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에서 응급의료의 개요를 이해하고 환자상태의 평가 및 기본적인 응급처치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Understand the outline of emergency medicine in veterinary medicine and develop the ability to evaluate patient conditions and perform basic first aid techniques.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에서 응급의료의 개요를 이해하고 환자상태의 평가 및 기본적인 응급처치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English

    Understand the outline of emergency medicine in veterinary medicine and develop the ability to evaluate patient conditions and perform basic first aid techniques.

닫기
4/1학기 전선 4362154
대동물임상실습 (Large Animal Clinical Practic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154
  • 교과목명 : 대동물임상실습 (Large Animal Clinical Practi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미래의 산업동물 분야에 종사할 수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임상실기를 실습하는 과목으로, 신체검사, 샘플채취, 내과적 및 산과적 처치, 수술을 포함하는 다양한 범위의 임상 기법들을 실습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수업은 실습 위주로 구성되며, 강원대학교 목장이나 산업동물임상교육연수원에서 이루어진다. 수강생은 대동물의 진료에 필요한 진단능력과 치료기법에 능숙해질 것이다.

    • English

      This class is designed to practice student basic clinical techniques in large animals. Students practice a wide range of clinical techniques, including physical examinations, sampling, medical and obstetric care, and surgery. Classes consist mainly of hands-on practice and are held at the Kangwon National University's ranch or the farm animal clinical training and research center. Students will be proficient in the diagnostic skills and treatment techniques required for the care of large animals.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미래의 산업동물 분야에 종사할 수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임상실기를 실습하는 과목으로, 신체검사, 샘플채취, 내과적 및 산과적 처치, 수술을 포함하는 다양한 범위의 임상 기법들을 실습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수업은 실습 위주로 구성되며, 강원대학교 목장이나 산업동물임상교육연수원에서 이루어진다. 수강생은 대동물의 진료에 필요한 진단능력과 치료기법에 능숙해질 것이다.

  • English

    This class is designed to practice student basic clinical techniques in large animals. Students practice a wide range of clinical techniques, including physical examinations, sampling, medical and obstetric care, and surgery. Classes consist mainly of hands-on practice and are held at the Kangwon National University's ranch or the farm animal clinical training and research center. Students will be proficient in the diagnostic skills and treatment techniques required for the care of large animals.

닫기
4/1학기 전필 4362182
수의임상병리학병원실습 (Clinical Practice of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82
  • 교과목명 : 수의임상병리학병원실습 (Clinical Practice of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① 이 교과목의 목표는 질병진단, 병인규명, 예후판정을 위하여 동물병원의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및 기타 임상검체에 대하여 다양한 장비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그 결과를 정성 및 정량적으로 해석하는 방법과 기술을 학습하는 것이다. ② 수의임상병리학 병원실습에서는 혈액학과 진단세포학에 대한 증례 기반 교육을 제공하며, 강의내용에 대해서는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의 검사결과에 근거하여 실습하고 해석하는 방법론을 습득한다. ③ 임상병리학의 기초 이론과 원리를 습득하여 다양한 임상상황에 적절한 검사기법을 선택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English

      ① The objectives of this course are to examine methods and techniques for the examination of the blood, urine, and other clinical specimens obtained from animal patients using various equipment and to interpret the result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or disease diagnosis, pathogenesis, and prognosis. ② In Clinical practice of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case-based learning is delivered on hematology, and diagnostic cytology.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methodology of practicing and interpreting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patients that visit the animal hospital. ③ The Clinical practice of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will be taught to cultivate the ability to select and interpret appropriate test methods for various clinical situations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① 이 교과목의 목표는 질병진단, 병인규명, 예후판정을 위하여 동물병원의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및 기타 임상검체에 대하여 다양한 장비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그 결과를 정성 및 정량적으로 해석하는 방법과 기술을 학습하는 것이다. ② 수의임상병리학 병원실습에서는 혈액학과 진단세포학에 대한 증례 기반 교육을 제공하며, 강의내용에 대해서는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의 검사결과에 근거하여 실습하고 해석하는 방법론을 습득한다. ③ 임상병리학의 기초 이론과 원리를 습득하여 다양한 임상상황에 적절한 검사기법을 선택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English

    ① The objectives of this course are to examine methods and techniques for the examination of the blood, urine, and other clinical specimens obtained from animal patients using various equipment and to interpret the result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or disease diagnosis, pathogenesis, and prognosis. ② In Clinical practice of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case-based learning is delivered on hematology, and diagnostic cytology.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methodology of practicing and interpreting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patients that visit the animal hospital. ③ The Clinical practice of Veterinary Clinical Pathology will be taught to cultivate the ability to select and interpret appropriate test methods for various clinical situations

닫기
4/1학기 전필 4362183
임상수의학심화실습 (Advanced Rotation Course in Clinical Veterinary Medicin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83
  • 교과목명 : 임상수의학심화실습 (Advanced Rotation Course in Clinical Veterinary Medicine)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0-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임상수의학 교과목들의 이론과 실습의 내용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 및 활용되고 있는지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임상수의학 교과목을 모두 이수한 수의학과 학생들이 학내 수의학 임상 현장을 순환하며 체험토록 하고자 한다. 수의학 전공을 활용한 임상 직무에 대한 학생들의 졸업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allow students of veterinary college experience how to apply and utilize to clinical veterinary fields such as animal hospital and wildlife rescue center. The veterinary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 curriculums for clinical veterinary medicine can participate to this course. It are expected that the students’ Day 1 competence after graduation would be increased.

    닫기
10 0 20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임상수의학 교과목들의 이론과 실습의 내용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 및 활용되고 있는지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임상수의학 교과목을 모두 이수한 수의학과 학생들이 학내 수의학 임상 현장을 순환하며 체험토록 하고자 한다. 수의학 전공을 활용한 임상 직무에 대한 학생들의 졸업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allow students of veterinary college experience how to apply and utilize to clinical veterinary fields such as animal hospital and wildlife rescue center. The veterinary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 curriculums for clinical veterinary medicine can participate to this course. It are expected that the students’ Day 1 competence after graduation would be increased.

닫기
4/1학기 전선 4362186
소임상사양학 (Bovine clinical feeding scienc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186
  • 교과목명 : 소임상사양학 (Bovine clinical feeding 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수강생의 소 사양에 대한 기본 개념과 사료 급여 방법에 대한 지식을 배우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에 대한 지식을 체계화한다. 소의 소화기관, 소화흡수, 사료의 종류, 사양 원리를 비롯한 각종 질병에 대한 원인에 대해 고찰한다. 수강생은 우리나라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소의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고 임상현장에서 군 단위의 질병 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확립할 것이다.

    • English

      In the lecture, students learn the basic concepts of bovine clinical feeding science, and structurize their knowledge of diseases that occurs due to the feeding system. This lecture discusses the causes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the digestive system, digestion and absorption, types of feed, and feeding principles in bovine. The students will identify the causes of diseases in bovine that are a problem in Korea and establish the ability to manage disease by the herd management.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수강생의 소 사양에 대한 기본 개념과 사료 급여 방법에 대한 지식을 배우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에 대한 지식을 체계화한다. 소의 소화기관, 소화흡수, 사료의 종류, 사양 원리를 비롯한 각종 질병에 대한 원인에 대해 고찰한다. 수강생은 우리나라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소의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고 임상현장에서 군 단위의 질병 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확립할 것이다.

  • English

    In the lecture, students learn the basic concepts of bovine clinical feeding science, and structurize their knowledge of diseases that occurs due to the feeding system. This lecture discusses the causes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the digestive system, digestion and absorption, types of feed, and feeding principles in bovine. The students will identify the causes of diseases in bovine that are a problem in Korea and establish the ability to manage disease by the herd management.

닫기
4/1학기 전선 4362194
동물질병의이해 (Current opinion of veterinary disease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194
  • 교과목명 : 동물질병의이해 (Current opinion of veterinary diseases)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인간 삶의 변화에 따라 동물의 질병 발병양상이 변화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에서는 종양 및 자가면역질환 같은 난치성 질병이 늘어나고 있으며 산업동물에서는 변화된 환경적 요인에 따라 새로운 유전병 및 면역질환이 발생한다. 최신 동물질병의 발병양상을 이해하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의사를 양성한다.

    • English

      Lately, pathogenesis of animal diseases has been changed. For example, companion animals now are now suffering from various incurable diseases such as cancer, autoimmune disease, and genetic diseases. Food animals, at the same time, are developed with rare genetic disorders or immune mediated diseases. The lecture is aiming to deliver current understanding of novel animal diseases.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인간 삶의 변화에 따라 동물의 질병 발병양상이 변화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에서는 종양 및 자가면역질환 같은 난치성 질병이 늘어나고 있으며 산업동물에서는 변화된 환경적 요인에 따라 새로운 유전병 및 면역질환이 발생한다. 최신 동물질병의 발병양상을 이해하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의사를 양성한다.

  • English

    Lately, pathogenesis of animal diseases has been changed. For example, companion animals now are now suffering from various incurable diseases such as cancer, autoimmune disease, and genetic diseases. Food animals, at the same time, are developed with rare genetic disorders or immune mediated diseases. The lecture is aiming to deliver current understanding of novel animal diseases.

닫기
4/1학기 전선 4362195
감염과면역 (Infection and Immunit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195
  • 교과목명 : 감염과면역 (Infection and Immunit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의 질병은 크게 감염성 질병과 비감염성 질병으로 나눌 수 있다.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숙주로 침입했을때 동물 뿐 아니라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는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본 강의는 감염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한 면역시스템의 작동에 대하여 학습한다.

    • English

      Major animal diseases are originated from infectious agents which include bacteria, virus, and parasites. Infection of those pathogens develop both animal diseases and zoonosis. Current knowledge on infectious agent regarding their growth, metabolism, and invasion pathway and host immune system upon infection will be studied.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동물의 질병은 크게 감염성 질병과 비감염성 질병으로 나눌 수 있다.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숙주로 침입했을때 동물 뿐 아니라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는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본 강의는 감염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한 면역시스템의 작동에 대하여 학습한다.

  • English

    Major animal diseases are originated from infectious agents which include bacteria, virus, and parasites. Infection of those pathogens develop both animal diseases and zoonosis. Current knowledge on infectious agent regarding their growth, metabolism, and invasion pathway and host immune system upon infection will be studied.

닫기
4/1학기 전선 4362196
전공세미나1 (Seminars in Veterinary Medicine1)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196
  • 교과목명 : 전공세미나1 (Seminars in Veterinary Medicine1)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 전반의 최신 연구결과물을 논문발표 형식을 통하여 습득하고 체험한다.

    • English

      For critical thinking development in veterinary medicine, each participant present and evaluate recent publication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 전반의 최신 연구결과물을 논문발표 형식을 통하여 습득하고 체험한다.

  • English

    For critical thinking development in veterinary medicine, each participant present and evaluate recent publications.

닫기
4/1학기 전선 4362204
수의중환자의학 (Veterinary Critical Care Medicin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204
  • 교과목명 : 수의중환자의학 (Veterinary Critical Care Medicin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노령화된 반려동물이 증가 됨에 따라, 많은 환자들이 한 가지 질환만 가진 경우보다는 복합적인 의료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중증, 복합 질환자 관리를 위한 통합 진료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중환자의 치료에서 전반적이고 구체적인 내과적 치료 지시를 할 수 있는 수의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As the number of aging companion animals increases, many patients have complex medical problems rather than just one disease, increasing the need for integrated treatment to manage patients with severe and complex diseases. The goal is to train veterinarians who can give general and specific medical treatment instructions in the treatment of critically ill patients.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노령화된 반려동물이 증가 됨에 따라, 많은 환자들이 한 가지 질환만 가진 경우보다는 복합적인 의료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중증, 복합 질환자 관리를 위한 통합 진료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중환자의 치료에서 전반적이고 구체적인 내과적 치료 지시를 할 수 있는 수의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As the number of aging companion animals increases, many patients have complex medical problems rather than just one disease, increasing the need for integrated treatment to manage patients with severe and complex diseases. The goal is to train veterinarians who can give general and specific medical treatment instructions in the treatment of critically ill patients.

닫기
4/2학기 전필 4362049
수의법규 (Veterinary Jurisprudenc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049
  • 교과목명 : 수의법규 (Veterinary Jurisprud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사 면허자격 취득에 필요한 수의관련 법규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숙지하여 수의사국가시험에 대비한다.

    • English

      Prepare for the veterinarian national examination by fully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veterinary laws and regulations required to obtain the veterinarian license.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수의사 면허자격 취득에 필요한 수의관련 법규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숙지하여 수의사국가시험에 대비한다.

  • English

    Prepare for the veterinarian national examination by fully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veterinary laws and regulations required to obtain the veterinarian license.

닫기
4/2학기 전선 4362069
동물실험방법론 (Laboratory Animal Care and Use Program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069
  • 교과목명 : 동물실험방법론 (Laboratory Animal Care and Use Programs)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 및 생명과학에 기본적으로 이용되는 실험동물의 윤리적이고 과학적인 동물 사용방법과 응용에 대하여 배운다. 다양한 형태의 동물실험에 있어 과학적이고 재현성 있는 동물실험에 대한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할 있도록 동물의 특성에 적합한 실험방법과 적용을 이해한다. 실험동물수의사로서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동물실험과 관련된 방법론을 스스로 기획하여 실행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춘다.

    • English

      In veterinary medicine, students will learn how to use ethical and scientific animals and how to use them. In order to understand and apply the methods for scientific and reproducible animal experiments in various types of animal experiments,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experimental methods and applic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animals. Students have the knowledge to design and implement their own methodologies related to basic animal experiments required by veterinarians who deal with laboratory animals.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 및 생명과학에 기본적으로 이용되는 실험동물의 윤리적이고 과학적인 동물 사용방법과 응용에 대하여 배운다. 다양한 형태의 동물실험에 있어 과학적이고 재현성 있는 동물실험에 대한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할 있도록 동물의 특성에 적합한 실험방법과 적용을 이해한다. 실험동물수의사로서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동물실험과 관련된 방법론을 스스로 기획하여 실행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춘다.

  • English

    In veterinary medicine, students will learn how to use ethical and scientific animals and how to use them. In order to understand and apply the methods for scientific and reproducible animal experiments in various types of animal experiments,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experimental methods and applic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animals. Students have the knowledge to design and implement their own methodologies related to basic animal experiments required by veterinarians who deal with laboratory animals.

닫기
4/2학기 전선 4362087
수의안과학 (Veterinary Ophthalmolog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087
  • 교과목명 : 수의안과학 (Veterinary Ophthalm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4학년을 위한 수의안과 심화과정이다. 본 과목을 위해서는 3학년의 수의안과 기초과정을 선수과목으로 이수하는 것이 요구된다. 강의목표는 개와 고양이에서 주요질병인 녹내장, 백내장, 그리고 안저질환들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is the advanced course of Veterinary Ophthalmology for 4th grade students. For more understanding, the basic course of Veterinary Ophthalmology in 3rd grade is the requirement of this course. The goal is to build understanding and comprehension of major diseases such as Glaucoma, Cataract, and fundal problems in dogs and cats.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4학년을 위한 수의안과 심화과정이다. 본 과목을 위해서는 3학년의 수의안과 기초과정을 선수과목으로 이수하는 것이 요구된다. 강의목표는 개와 고양이에서 주요질병인 녹내장, 백내장, 그리고 안저질환들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is the advanced course of Veterinary Ophthalmology for 4th grade students. For more understanding, the basic course of Veterinary Ophthalmology in 3rd grade is the requirement of this course. The goal is to build understanding and comprehension of major diseases such as Glaucoma, Cataract, and fundal problems in dogs and cats.

닫기
4/2학기 전선 4362093
야생동물기생충학 (Wild Animal Parasitolog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093
  • 교과목명 : 야생동물기생충학 (Wild Animal Parasit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야생동물에 기생하고 있는 여러 가지 기생충에 대한 생리, 병리 현상 평가 및 미기록종 발굴. 이 기생충들의 분석을 통해 가축이나 사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각종 야생동물로부터 매개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기생충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야생동물 유래 기생충에 대한 지식습득을 통해 공중보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assessment about various parasites infecting wild animals and finding unrecorded species of those parasites. And it also covers analyzing effect of those parasites on domestic animals and people by examining them. This couse will teach fundamental knowledges about parasites that can be transmitted by various wild animals. After this course, students can contribute to public health through acquiring knowledges about wild animal-origin parasites.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야생동물에 기생하고 있는 여러 가지 기생충에 대한 생리, 병리 현상 평가 및 미기록종 발굴. 이 기생충들의 분석을 통해 가축이나 사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각종 야생동물로부터 매개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기생충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야생동물 유래 기생충에 대한 지식습득을 통해 공중보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assessment about various parasites infecting wild animals and finding unrecorded species of those parasites. And it also covers analyzing effect of those parasites on domestic animals and people by examining them. This couse will teach fundamental knowledges about parasites that can be transmitted by various wild animals. After this course, students can contribute to public health through acquiring knowledges about wild animal-origin parasites.

닫기
4/2학기 전필 4362170
기초수의학통합강의 (Integrated Lecture of Basic Veterinary Medicin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70
  • 교과목명 : 기초수의학통합강의 (Integrated Lecture of Basic Veterinary Medicin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강의이다. 1,2학년에서 배웠던 기초전공과목들을 정리하며, 과목간 연계의 통합 학습을 통해 졸업 역량을 향상시킨다.

    • English

      It is a lecture for the senior students. Students remind totally and comprehensively about the curriculum subjects of basic veterinary medicine to improve a terminal graduation competency.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강의이다. 1,2학년에서 배웠던 기초전공과목들을 정리하며, 과목간 연계의 통합 학습을 통해 졸업 역량을 향상시킨다.

  • English

    It is a lecture for the senior students. Students remind totally and comprehensively about the curriculum subjects of basic veterinary medicine to improve a terminal graduation competency.

닫기
4/2학기 전필 4362171
예방수의학통합강의 (Integrated Lecture of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71
  • 교과목명 : 예방수의학통합강의 (Integrated Lecture of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강의이다. 1,2학년에서 배웠던 예방전공과목들을 정리하며, 과목간 연계의 통합 학습을 통해 졸업 역량을 향상시킨다.

    • English

      It is a lecture for the senior students. Students remind totally and comprehensively about the curriculum subjects of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to improve a terminal graduation competency.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강의이다. 1,2학년에서 배웠던 예방전공과목들을 정리하며, 과목간 연계의 통합 학습을 통해 졸업 역량을 향상시킨다.

  • English

    It is a lecture for the senior students. Students remind totally and comprehensively about the curriculum subjects of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to improve a terminal graduation competency.

닫기
4/2학기 전필 4362172
임상수의학통합강의 (Integrated Lecture of Clinical Veterinary Medicin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62172
  • 교과목명 : 임상수의학통합강의 (Integrated Lecture of Clinical Veterinary Medicin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강의이다. 1,2학년에서 배웠던 임상전공과목들을 정리하며, 과목간 연계의 통합 학습을 통해 졸업 역량을 향상시킨다.

    • English

      It is a lecture for the senior students. Students remind totally and comprehensively about the curriculum subjects of clinical veterinary medicine to improve a terminal graduation competency.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강의이다. 1,2학년에서 배웠던 임상전공과목들을 정리하며, 과목간 연계의 통합 학습을 통해 졸업 역량을 향상시킨다.

  • English

    It is a lecture for the senior students. Students remind totally and comprehensively about the curriculum subjects of clinical veterinary medicine to improve a terminal graduation competency.

닫기
4/2학기 전선 4362180
수의학심화실습고등수의연구과정 (Advanced Veterinary Practices Advanced Cours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180
  • 교과목명 : 수의학심화실습고등수의연구과정 (Advanced Veterinary Practices Advanced Cours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활동에 대한 심화 실습 과정으로 수의과대학 내의 연구실에서 심화된 실습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연구자로서의 졸업역량을 높이고자 한다.

    • English

      It is an advanced practical course for fourth grade veterinary students. The student should be involved in a laboratory of veterinary medicine and learn how to design a experiment as a veterinary researcher.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활동에 대한 심화 실습 과정으로 수의과대학 내의 연구실에서 심화된 실습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연구자로서의 졸업역량을 높이고자 한다.

  • English

    It is an advanced practical course for fourth grade veterinary students. The student should be involved in a laboratory of veterinary medicine and learn how to design a experiment as a veterinary researcher.

닫기
4/2학기 전선 4362187
외과임상통합강의 (Advanced Clinical Surger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187
  • 교과목명 : 외과임상통합강의 (Advanced Clinical Surge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 임상외과분야를 다루는 외과심화과정 강의입니다. 치과는 기초부터 임상까지 전 범위를 강의할 계획임. 그외 흉부외과, 심혈관외과, 간담도외과 두경부외과, 뇌신경외과등 외과 임상분야의 전문분야에 대해서는 전문분야의 임상경험이 풍부한 병원장 및 대학교수님을 초빙할 계획임. 분야별 기초 이론과 임상case에 대한 강의 진행

    • English

      This is a surgical in-depth course on veterinary clinical surgery. Dentistry plans to teach a full range from basic to clinical. In addition, we plan to invite hospital directors and university professors with extensive clinical experience in specialized fields such as thoracic surgery, cardiovascular surgery, hepatology surgery, head and neck surgery, and cranial neurosurgery. Conducting lectures on basic theories and clinical cases by field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수의 임상외과분야를 다루는 외과심화과정 강의입니다. 치과는 기초부터 임상까지 전 범위를 강의할 계획임. 그외 흉부외과, 심혈관외과, 간담도외과 두경부외과, 뇌신경외과등 외과 임상분야의 전문분야에 대해서는 전문분야의 임상경험이 풍부한 병원장 및 대학교수님을 초빙할 계획임. 분야별 기초 이론과 임상case에 대한 강의 진행

  • English

    This is a surgical in-depth course on veterinary clinical surgery. Dentistry plans to teach a full range from basic to clinical. In addition, we plan to invite hospital directors and university professors with extensive clinical experience in specialized fields such as thoracic surgery, cardiovascular surgery, hepatology surgery, head and neck surgery, and cranial neurosurgery. Conducting lectures on basic theories and clinical cases by field

닫기
4/2학기 전선 4362188
동물병원심화실습 (Advanced course in veterinary practic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188
  • 교과목명 : 동물병원심화실습 (Advanced course in veterinary practi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임상수의학 교과목을 포함한 수의학과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편성된 교과 과정을 모두 이수하고 4학년 1학기에 편성된 임상수의학심화실습의 과정을 마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수의학 분야 진로의 실무에 대한 심화된 실습 과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intended fo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of clinical veterinary practice organize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year in the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They will participate as an observer in an in-depth clinic course in our veterinary hospital.

    닫기
4 0 8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임상수의학 교과목을 포함한 수의학과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편성된 교과 과정을 모두 이수하고 4학년 1학기에 편성된 임상수의학심화실습의 과정을 마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수의학 분야 진로의 실무에 대한 심화된 실습 과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intended fo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of clinical veterinary practice organize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year in the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They will participate as an observer in an in-depth clinic course in our veterinary hospital.

닫기
4/2학기 전선 4362189
동물병원임상실습 (Clinical course in veterinary practic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189
  • 교과목명 : 동물병원임상실습 (Clinical course in veterinary practi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4-0-8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임상수의학 교과목을 포함한 수의학과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편성된 교과 과정을 모두 이수하고 4학년 1학기에 편성된 임상수의학심화실습의 과정을 마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수의학 분야 진로의 실무에 대한 심화된 실습 과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intended fo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of clinical veterinary practice organize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year in the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They will participate as an observer in an in-depth clinic course in our veterinary hospital.

    닫기
4 0 8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임상수의학 교과목을 포함한 수의학과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편성된 교과 과정을 모두 이수하고 4학년 1학기에 편성된 임상수의학심화실습의 과정을 마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수의학 분야 진로의 실무에 대한 심화된 실습 과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intended fo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of clinical veterinary practice organize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year in the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They will participate as an observer in an in-depth clinic course in our veterinary hospital.

닫기
4/2학기 전선 4362193
전공세미나2 (Seminars in Veterinary Medicine2)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62193
  • 교과목명 : 전공세미나2 (Seminars in Veterinary Medicine2)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 전반의 최신 연구결과물을 논문발표 형식을 통하여 습득하고 체험한다.

    • English

      For critical thinking development in veterinary medicine, each participant present and evaluate recent publication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수의학 전반의 최신 연구결과물을 논문발표 형식을 통하여 습득하고 체험한다.

  • English

    For critical thinking development in veterinary medicine, each participant present and evaluate recent publications.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